메뉴 건너뛰기

[여는글]

a6de88

봄바람이 다시 불어오길

posted Mar 14,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위기의 시대, 극우를 분석한다2.jpg

 

지난 1월 중순 내란 우두머리의 구속을 앞두고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는 연일 시위가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제가 탄 버스가 태극기+성조기 부대 앞을 지나가는데 대형 스피커로 귀에 익은 복음성가 선율이 들려오는 것이었습니다.

 

"주 선한 능력으로 안으시네. 그 크신 팔로 날 붙드시네… "

 

귀를 의심했습니다. 디트리히 본회퍼 목사님이 옥중에서 지은 시에 곡을 붙인 "선한 능력으로"가 맞았습니다. 좋은 시와 노래가 널리 불려 한편 반가웠지만, 마음 한켠에서는 모욕당하고 있다는 묘한 감정이 끓어올랐습니다. 그 노래가 불린 현장이 계엄을 옹호하고, 정당한 법 집행에 따른 대통령 체포를 반대하는 집회였기 때문입니다. 당시 집회를 주도한 전광훈은 지금도 본회퍼 목사님의 시민저항권 논리를 빌어 민주공화국의 헌법적 가치를 부정하고 국가 기관의 전복을 선동하고 있습니다.

 

나치의 폭정에 항거한 본회퍼 목사님과 독일 고백교회의 시민저항권 논리를 오늘날 한국의 극우파시즘에서 차용하는 믿기 힘든 상황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습니다. 이제 한국에도 기독교 파시즘이 만연히 도래했음을 실감합니다. 사실 이 땅에 하느님나라를 건설하자는 주장은 이념적 좌우를 막론하고 뿌리가 깊지만, 그동안 한국의 보수 교회들은 정치사회적 목소리를 내고 참여하는데 소극적이었습니다. 도대체 어떤 맥락과 경로로 한국의 보수 기독교가 극우 파시즘에 잡아 먹혀 가장 반동적인 세력으로 전면 부상하게 되었을까요? 어쩌면 보수 기독교는 신자유주의 무한경쟁 구도에서 밀려난 자들의 절망과 고립감과 외로움을 잡아먹으며 성장한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3월 길목 월례강좌의 주제를 "위기의 시대, 극우를 분석한다"로 정하고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포럼 방식의 강좌가 열리는 3월 20일에는 아마도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고 보수 개신교를 중심으로 한 극우 세력들이 크게 들고일어나는 시기일지도 모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남녘에서는 꽃바람이 불어오고, 산책길 가로수 아래 이름 모를 풀이 연둣빛 이파리로 돋아나기 시작하는 계절, 꽃내음달 3월입니다. 부디 헌정 질서를 어지럽힌 내란 우두머리가 하루속히 파면되고, 진짜 민주주의와 사회대개혁의 봄바람이 다시 불어오길 고대할 따름입니다.

피경원-프로필이미지.png


  1. 봄바람이 다시 불어오길

    지난 1월 중순 내란 우두머리의 구속을 앞두고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는 연일 시위가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제가 탄 버스가 태극기+성조기 부대 앞을 지나가는데 대형 스피커로 귀에 익은 복음성가 선율이 들려오는 것이었습니다. "주 선한 능력으로 안으...
    Date2025.03.14 Views51
    Read More
  2. 2024년, 가장 뿌듯했던 것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작년 한 해는 사건사고가 많았던 해였다. 그중에는 살아가면서 경험한 가장 슬픈 일도 있었고, 잊지 못할 감동적이고 기쁘고 멋진 일도 여럿 있었다. 2024년이 시작할 때 나는 동네 독서모임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 모임에서 다양한 독서를 하게 ...
    Date2025.02.08 Views97
    Read More
  3. 아직 끝나지 않은 2024년

    12개월의 시간이 흐르면 일 년이 됩니다. 통상 12월이 되면 지난 11개월의 시간을 탈 없이 지낸 것을 감사하며 새로운 일은 가급적 시작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작년 12월은 전혀 예상하지 않은 비상계엄과 비행기 폭발이라는 엄청난 사건과 사고가 있...
    Date2025.01.13 Views79
    Read More
  4. 시기심과 파괴성

    J는 어느 날 상담에서 나에게는 절망을 딛고 설 수 있는 희망이 없었어요. 그것은 시기심 때문에 내 안에 좋은 대상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좋은 대상을 찾아서 온 세상을 헤매다가 좋은 대상을 만나면, 나보다 잘난 것을 보는 게 내가 갈기갈기 찢...
    Date2024.12.08 Views148
    Read More
  5. 생태문화사회를 향하여

    지금 기후위기가 점점 심각해지고 불평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왜 이런 시대가 되었을까? 우리 인간들의 이기적인 사고로 자연을 함부로 파괴하고 사치와 낭비의 생활방식과 무한경쟁의 정치경제사회시스템의 결과라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다중 위기를 극...
    Date2024.11.05 Views111
    Read More
  6.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것

    노르웨이 뤼세 피오르에 있는 프레이케스톨렌(설교단 바위)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것 겨울은 봄바람이 세상에서 제일 무섭고요. 봄은 세상에서 매미 소리가 제일 무섭대요. 여름은 귀뚜라미 소리가 제일 무섭고요. 가을 햇살은 눈송이가 세상에서 제일 무섭대...
    Date2024.10.06 Views113
    Read More
  7. 길목 청년 지원 사업 소개 및 연대 요청

    길목 청년 지원 사업을 소개 평화를 빕니다. 길목 청년 지원 사업 담당 김하나입니다. 길목 청년 지원 사업은 연초, 청년 세미나팀을 모집하는 것으로 한 해를 시작합니다. 청년 세미나팀 지원은 한 팀당 4인 이상의 청년들의 상호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키고 ...
    Date2024.09.10 Views94
    Read More
  8. 안녕하세요 길목에서 일합니다

    더위가 무척 길게 이어집니다. 이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 그리고 조합원 여러분 모두, 마음과 몸에 건강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그간 제 이름으로 맥주 인문학 칼럼과 책 소개 글 같은 게 있었는데요, 길목에서 일하는 사람으로 그에 대한 인사를 드리게 된 점...
    Date2024.08.12 Views131
    Read More
  9. 인사이드 아웃

    나름 짧지 않은 인생을 살아왔다고 생각했는데 (아마도) 처음으로 한 영화의 1, 2편을 모두 보는 (지극히 개인적인)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그것도 애니메이션 영화를요. 주말에 일을 좀 해치워야 평일에 (마음의) 여유를 누릴 수 있어서 일에 집중...
    Date2024.07.08 Views154
    Read More
  10. 절제하는 삶

    자본주의의 형성과 발달은 산업혁명 이후부터다. 생산방식이 기계화되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고 더 많은 이익을 얻게 된다. 자본가들은 사업의 확장과 안정을 위해 자본을 더 많이 축적하고 소유하려 한다. 이를 위해 자본가들은 자본의 자유를 주장하여 경...
    Date2024.06.04 Views1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