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마당]

a8b4e2

홍일립, 2021 - 국가의 딜레마

posted Feb 08,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가의 딜레마.jpg

홍일립 지음

국가의 딜레마: 국가는 정당한가

2021, 사무사책방

 

지난해 12·3 비상계엄사태 이후 한국사회가 몹시 어수선하다. 정치적으로 민주주의가 크게 후퇴하고, 경제적으로 한국의 국가 신인도가 툭 떨어졌다. 현직 대통령이 국회에서 탄핵된 데 이어, 수사기관에 체포·수감되었다. 대통령에 대한 환상이 깨어지면서, 과연 '대통령'이란 무엇인지, 나아가 '국가'란 무엇인지, 새롭게 질문하게 되었다. 오래전부터 익숙하게 사용해 온 '애국'이나 '충성'이란 단어도 낯설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읽을 책으로 『국가의 딜레마: 국가는 정당한가』를 권해본다. 이 책은 국가라는 조직에 대해 근원적인 질문을 하고, 국가의 기원과 변천과 성격에 대해, 영향력 있는 지식인들의 이야기를 두루 소개한다. 저자는 국가가 정당한 조직인지 묻고, 국가의 비천한 기원을 들추어낸다. 국가라는 괴물을 해부하고, 반국가주의자들의 이야기를 분석한다. 민주주의가 희망의 언어인지, 국민은 국가의 주인인지 묻는다. 그리고 해결되지 않는 국가의 딜레마가 무엇인지 논의한다.

 

상큼한 해답은 없다. 그래서 읽고 나도 개운하지 않다. 그렇지만 이 책은 국가에 대한 환상, 국가의 최고 지도자인 대통령에 대한 환상을 깨트려준다. 정치인과 고위관료와 소위 지도자라고 불리는 이들의 선동과 미사여구에 속지 않게 경계해 준다.

 

현실적으로, 난민을 제외하고, 한 국가의 국민으로 살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다. 각 국가의 규모가 다르고, 정치·경제·문화적 발달 수준에 차이는 있지만, 모든 개인은 어느 국가의 구성원이다. 대부분의 국민은 국가가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 준다고 믿는다. 자기 국가를 자랑스러워하는 국민이 많고, 국가에 위기가 닥치면 국가를 위해 헌신하려는 사람도 많다.

 

한국의 경우, 약 1세기 전에 국가를 잃은 적이 있고, 국가를 되찾은 후에는 남북으로 갈라져 3년 동안이나 6·25전쟁을 치렀다. 이런 과정을 지나오면서, 온 국민이 국가의 소중함을 뼈에 새길 정도로 깊이 경험했다. 역대 대통령과 고위관료와 정치가 들은 국가를 위해 헌신한다고 공언했고, 중요한 날에는 국립묘지에 참배했다. 젊은 남성들은 싫든 좋든 군에 입대하여 '신성한' 국방의 의무를 담당했다. 지금도 관공서와 학교들은 주요 행사가 있으면 국가에 대한 예의, 즉 국민의례로 시작한다.

 

그런데 홍일립의 책을 읽다 보면, 국가에 대해 각 개인이 품고 있던 '좋은' 혹은 '신비에 싸인' 이미지가 지워진다. 국가에 대해 가지고 있던 희망적인 뭔가가 날아가 버린다. 국가의 지도자라 불리는 대통령과 그를 보좌하는 집단에 대해서, 믿음보다는 경계심을 품게 된다. 이 책은 국가에 대한 기대를 접게 만드는 책이다. 따라서 이 책은 국가 기관이나 국회의 권장도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이 책은 플라톤(Plato)이 쓴 『국가론』 같은 심오한 철학을 담고 있지 않다. 라스키(H. J. Laski)나 장 보댕(Jean Bodin)이나 밥 제솝(Bob Jessop) 등이 쓴 『국가론』처럼, 풍부한 내용을 깊이 있게 다루지도 않는다. 그와는 반대로 간략하게 구성했다. 국가라는 것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을 간단하게 요약했다. 무거운 주제지만 가볍게 읽을 수 있다. 오래 붙잡고 있지 않아도 되기에, 부담 없이 읽으시라고 추천한다.

김기수-프로필이미지2.gif

  1. 자폐라는 새로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자폐라는 새로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우근이가 사라졌다』와 『나는 그림으로 생각한다』 『우근이가 사라졌다』 책 제목에서 느껴지듯이 중증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들을 키우는 부모의 우당탕탕 좌충우돌 이야기이다. 그러나 그동안의 관련 책들...
    Date2025.03.15 Views22
    Read More
  2. 홍일립, 2021 - 국가의 딜레마

    홍일립 지음 국가의 딜레마: 국가는 정당한가 2021, 사무사책방 지난해 12·3 비상계엄사태 이후 한국사회가 몹시 어수선하다. 정치적으로 민주주의가 크게 후퇴하고, 경제적으로 한국의 국가 신인도가 툭 떨어졌다. 현직 대통령이 국회에서 탄핵된 데 ...
    Date2025.02.08 Views52
    Read More
  3. 조너선 하이트 - 불안 세대

    불안 세대(The Anxious Generation) 저자 조너선 하이트 | 역자 이충호 | 웅진지식하우스 | 2024.07.31 우리말로 '관심 경제' 또는 '주의력 경제'라고 번역되는 Attention economics는 인간의 주의력을 희소한 상품이자 자원으로 보고, 이 &#...
    Date2025.01.13 Views66
    Read More
  4. 양정무 지음, 2016 - 난생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1

    난생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1 양정무 지음, 2016, 사회평론 나이가 들수록 역사나 미술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건 비단 나만의 일은 아닐 것 같다. 어느 곳이든 유적지다 유물이다 해서 뚫어지게 쳐다봐도 그 역사를 모르면 머릿속에는 아무것도 ...
    Date2024.12.08 Views126
    Read More
  5. 백낙청 외, 2024 -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백낙청 외, 2024, 창비 개벽(開闢)은 천지가 처음 열린다는 뜻이다. 성서의 천지창조와 거의 같은 뜻이다. 한국에 개벽사상이 있다. 황당무계한 얘기가 아니다. 한국사회에서 지성인으로 널리 알려진 사람들이 개벽사상에 대해 몇 차례 ...
    Date2024.11.05 Views80
    Read More
  6. 데이비드 브룩스, 2011 - 소셜 애니멀

    데이비드 브룩스 지음 이경식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2024 The Social Animal (2011년) 이 책은 마치 구체적 인물의 일대기 영화를 보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는 책이다. 가상의 인물인 두 인물 해럴드와 에리카의 탄생부터 죽음까지의 일대기를 다루면서 때...
    Date2024.10.07 Views53
    Read More
  7. 에드 콘웨이 - 물질의 세계

    물질의 세계 (Material World) 저자 에드 콘웨이 | 역자 이종인 | 인플루엔셜 | 2024.3.8. 우리는 물질문명에 터하여 살고 있다. 물질이 없다면 일상의 삶도 불가능하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라서 실감하기 어려운 주제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모래, 소...
    Date2024.09.10 Views102
    Read More
  8. 박상현, 2024 - 친애하는 슐츠씨

    친애하는 슐츠씨 – 오래된 편견을 넘어선 사람들 박상현 저, 어크로스, 2024 이 책을 나의 첫 책으로 꼭 소개하고 싶었다. 오래된 편견을 넘어선 사람들이라는 부제가 붙은 <친애하는 슐츠씨>의 저자 박상현은 구독 기반 매체인 <오터레터>를 통해 문화...
    Date2024.08.04 Views170
    Read More
  9. 박충구, 2019 - 인간의 마지막 권리

    <인간의 마지막 권리> 박충구, 2019 도서출판 동녘 "인간의 생명은 유한하다." 이 말은 진리임에도 불구하고 별로 감명을 주지 못한다. 너무 평범하다. "나의 생명은 유한하다." 이 말은 잠깐 긴장시키지만, 그 긴장은 금방 해소된다. 나도 알고 있기 때문이...
    Date2024.07.08 Views110
    Read More
  10. 김재인, 2023 - AI 빅뱅

    AI 빅뱅 (생성 인공지능과 인문학 르네상스) 저자 김재인 | 동아시아 | 2023.05.23. 우리가 사는 세상을 2022년 11월 30일 Chat GPT의 등장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서 바라보는 사람들이 많다. 이후 1년 반 동안 쉼 없이 발전한 생성 인공지능들의 진화된 성능...
    Date2024.06.06 Views1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