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는글]

a6de88

치유의 이름으로 함께한 미얀마 민주주의

posted Sep 06,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귀제_20220825_미얀마 (3).jpg

 

심심 치유활동가의 이름으로 매주 일요일 미얀마 시민들과 연대한지도 1년이 훌쩍 넘었다. 쿠데타 초기 들려오던 비극적인 소식은 언론에 가려져 있을 뿐 진행형이다.

 

지난 8월 7일 낮 12시 반, 수원역 로데오거리에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했다. 검정 옷을 입고 손에는 붉은 장미를 들었다. 미얀마 군부에 맞서 저항하다 처형당한 4명의 활동가를 추모하는 자리였다. 침묵시위에 이어 미얀마 군부의 고문과 사형집행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가만히 서 있어도 얼굴에 땀이 맺히고 등은 금방 축축해졌다. 한국의 노동 사회 인권 활동가, 이주노동자, 미얀마 시민 등 함께한 모두의 작은 행동이지만 세계평화와 민주주의라는 큰 의지를 담아내기엔 충분했다.

 

미얀마 군부정권의 폭력에 2천여 명이 넘는 시민들이 희생되었다. 미얀마에서 정치범에 대한 사형집행은 1976년 이후 46년 만이다. 그만큼 군부도 총과 폭력으로 저항을 막을 수 없다는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것이 아닐까. 마치 우리나라 1970년대 민주화 투쟁과 민주인사에 대한 사형집행처럼. 미얀마의 민주화와 평화를 기원하는 투쟁은 미얀마를 넘어서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 곳곳에서 계속되고 있다.

 

미얀마 노동자들은 힘든 노동을 하며 휴일의 쉼도 뿌리치고 여전히 씩씩하게 피켓을 들고 있다. 군부의 폭력이 얼마나 지속될지 가늠하기 어렵지만, 서로를 격려하며 버티고 있다. 워낙 SNS가 발달한 세상이라 매주 올리는 시위 소식을 미얀마 군부도 매의 눈으로 볼 것이다. 그래서 걱정이다. 피켓을 든 청년들이 미얀마로 돌아갔을 때 무사할 수 있을지가.

 

지난 6월에 긴 호흡으로 미래를 고민해보자며 작은 수련회를 준비했다. 1년 이상 계속되는 싸움의 막막함과 두려움을 꺼내고 위로하는 자리였다. 미얀마에 돌아가서도 민주시민으로 어떤 역할을 할지 고민을 나누기도 했다.

 

문경의 작은 수련원이 자리 잡은 희양산 마을 공동체의 환대는 지극했다. 미얀마 민주주의를 위해 아빠가 반주하며 아이와 엄마가 노래했을 때 모두 감동의 눈물을 흘렸다. 마을 사람들은 전, 김치, 막걸리, 과일 등 음식을 가져와 상을 차렸고 미얀마 청년들도 전통 음식을 준비해 나누었다. 두 나라의 군부 쿠데타와 민주화 운동의 닮은꼴에 관한 얘기를 나누며 이해의 폭도 넓혔다.

 

함께한 20여 명의 미얀마 청년들은 수원역 아스팔트 위 연대에 머물지 않았다. 한적한 시골 마을 공동체는 미얀마 노동자를 따스하게 품어 주었다. 모두는 고향에 온 듯 가슴속 응어리를 풀어내며 단단해지는 시간이 되었다.

 
조귀제_20220825_미얀마 (2).jpg

 

조귀제_20220825_미얀마 (1).jpg

 

조귀제_20220825_미얀마 (5).jpg

 

조귀제_20220825_미얀마 (4).jpg

 


  1. 치유의 이름으로 함께한 미얀마 민주주의

    심심 치유활동가의 이름으로 매주 일요일 미얀마 시민들과 연대한지도 1년이 훌쩍 넘었다. 쿠데타 초기 들려오던 비극적인 소식은 언론에 가려져 있을 뿐 진행형이다. 지난 8월 7일 낮 12시 반, 수원역 로데오거리에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했다. 검정 옷을 입...
    Date2022.09.06 Views191
    Read More
  2. 벌레들의 역습과 공존의 노력?

    1. 지난 몇 해 동안 4월 말이면 농장 근처에는 개나리, 아카시아, 꽃잔디 등 여러 종류의 꽃들이 피었고, 개화시기를 맞춰 이동하는 벌통들이 수십여 개가 놓여졌다가 꿀을 채취하고는 좀 더 늦게 꽃피는 북쪽으로 벌통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보아 왔다. 공릉...
    Date2022.08.03 Views248
    Read More
  3. '국뽕'에 취해 살기

    '국뽕'이란 속어가 있다. 인터넷 오픈 백과사전 나무위키는 국뽕을 ‘자국에 대한 환상에 도취되어 현실을 보지 않는, 맹목적으로 자국을 찬양하는 행태를 비꼬는 인터넷 신조어로, 국가와 히로뽕의 합성어이다. 무언가에 기분 좋게 취해 즐기는...
    Date2022.07.05 Views184
    Read More
  4. 6월이다. 6.10과 6.25가 나란히 있는...

    그는 열아홉에 원양어선을 탔다고 했다. 일찍 학교 문을 나와버린 그가 선택한 뱃일은 그의 일생의 업이 되었다. 타고난 체격에 얼마간 고등학교에 붙어 있을 무렵 럭비부에서 근육과 뼈에 힘을 다져 넣었던 탓에 첫 일로 먼바다에서의 어부가 가능하였으리라....
    Date2022.06.02 Views237
    Read More
  5. 초록초록으로 물들어가는 푸른 달

    이 산 저 산, 연둣빛이 가시고 온통 초록초록으로 물들어가는 푸른 달 5월입니다. 실외에서 마스크를 벗을 정도로 코로나19의 위협이 완화된 지금, 지난 2년 남짓의 삶을 돌아봅니다. 팬데믹과 함께 제시된 새로운 삶의 표준(New Normal)에 적응하여 변화하고...
    Date2022.05.03 Views272
    Read More
  6. 새로 시작하는 4월

    드디어 4월입니다. 눈을 들면 온통 꽃 천지입니다. 하얀 매화, 노란 산수유, 개나리와 민들레, 분홍 진달래, 진분홍 복사꽃, 우아한 흰 목련…… 메마른 겨우내 꽃피는 봄날은 기다렸습니다. 생명이 소생하는 4월은 부르는 이름도 많고 기억할 일...
    Date2022.04.05 Views279
    Read More
  7. 검은 호랑이 해

    검은 호랑이 해 올해가 시작한지 두 달이 지나 벌써 3월이 되었습니다. 봄의 기운이 서서히 일어나는 듯 베란다 창문 너머로 보이는 이 산은 앙상한 가지 사이로 푸른 잎들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합니다. 오늘은 역사적인 하루, 2022년 3월 9일 20대 대통령 선...
    Date2022.03.09 Views252
    Read More
  8. 검은 호랑이 해

    검은 호랑이 해 코로나 19가 아직도 우리의 삶을 어렵게 하고 있지만, 올해부터는 기지개를 켜고 여러 활동을 다시 시작하려고 합니다. 2월에 청년 활동을 시작하고, 3월부터는 서울 성곽문화기행을 시작으로 그동안 중단되었던 대면 활동들을 재개하려고 합...
    Date2022.02.04 Views256
    Read More
  9. ‘자산어보’에서 길목을 보다!

    ‘자산어보’에서 길목을 보다! 임인년(壬寅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불과 1년 전 2021년을 맞이했던 송년의 마음처럼 희비가 교차하는 심정으로 새해를 맞았습니다. 지난 1년 코로나의 질곡을 함께 헤쳐나온 길목의 조합원과 후원회원 모두의 평안...
    Date2022.01.03 Views278
    Read More
  10. 공감과 좌절

    공감과 좌절 ‘선생님은 내 편을 들어주지 않는 것 같아요. 다른 사람 편만 들어주는 것 같아요. 그런 선생님이 나를 이해해주지 않는 것 같아서 몹시 화가 나요.’ ‘선생님은 변했어요. 선생님이 처음에는 부드럽고 따뜻했는데, 이제는 아주...
    Date2021.12.04 Views2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