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옥경79

작별하지 않는다 - 꿈처럼 스며오는 지극한 사랑의 기억

작별하지 않는다

- 꿈처럼 스며오는 지극한 사랑의 기억

 

서옥경_20240403_121354.jpg

 

 

바다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다. 바다가 주는 자유와 평화의 느낌과 거리가 멀어도 한참 멀다. 짙푸른 바다가 포말을 이고 밀려든다. 썰물이 스쳐간 모래사장 바닥이 시커먼 발자국으로 뒤엉켜있다. 게다가 끝없는 수평선이 아닌 끝이 보이는 수평선이라니. 무명천으로 바다를 가로막았기 때문이다. 한강 작가의 장편소설 "작별하지 않는다" 표지 그림이 제주 4·3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봉쇄된 바다 안쪽은 분명 금단의 공간이 되었으리라. 제주도는 한때 같은 하늘 아래 소통이 단절되고 침묵이 강요된 섬이었다. 누구도 감히 입 밖으로 내뱉을 수 없었던 야만의 서사가 묻힌 곳이다. 아직도 70여 년 전 한 맺힌 슬픈 넋들은 위로받지 못하고 있다.

 

소설은 경하가 꾼 꿈 이야기로 시작된다. 작가인 경하가 도시의 학살에 대한 책을 낸 후 힘든 시간을 보낼 때 꾸었던 꿈이다. 경하는 그 꿈을 형상화하는 과정을 친구 인선이와 기록 영화를 만들기로 한다. 하지만 서로 일정을 조율하지 못한 채 세월이 흘렀다. 사진과 다큐멘터리 영화 작업을 했던 인선은 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고향인 제주도로 돌아간다. 어느 날 인선은 목공 작업 도중 손가락 마디 두 개가 잘린 사고를 당한다. 급히 서울로 와서 봉합수술을 받는다. 그녀는 퇴원할 때까지 제주 집에 홀로 남은 앵무새 '아마'를 돌봐달라고 경하에게 부탁한다. 경하는 대설주의보와 강풍경보를 무릅쓰고 제주 중산간 마을을 사투를 벌이며 찾아가지만 새는 이미 죽었다. 하얀 눈으로 뒤덮인 외딴 인선의 집에서 경하는 완전히 고립된다. 그런데 갑자기 그녀 앞에 죽은 새와 서울 병실에 있어야 할 인선이 나타난다. 인선과 경하, 누가 혼으로 나타났는지 두 사람의 존재가 안개처럼 흐릿한 가운데. 인선은 제주 4·3에 얽힌 참상과 아픈 가족사를 경하에게 들려준다.

 

온 가족을 잃고 십오 년을 감옥에서 보낸 인선의 아버지와 날카로운 쇠붙이를 깔고 자야 악몽을 안 꾼다는 엄마, 강정심, 인선의 부모는 제주 4·3의 희생자다. 눈만 오면 강정심은 아무도 꺼내지 않는 그때의 기억을 소환한다. "눈만 오민 내가, 그 생각이 남져. 생각을 안 하젠 해도 자꾸만 생각이 남서." 1948년 11월 중순부터 석 달 동안 중산간이 불타고 민간인 삼만 명이 살해되었다. 예리하게 벼린 칼 같은 기억들이 습격하면 그녀는 이야기하고 또 이야기한다. 얼굴에 하얗게 쌓인 눈을 한 사람씩 닦아가며 부모의 시신을 찾았던 강정심은 동생을 살리기 위해 자기 손가락을 깨문다. 피를 내어 동생이 빨게 했던 고통의 순간이 오히려 그녀에게 가장 행복한 시간이었다. 언니와 단둘이 남은 강정심은 오빠의 생사를 확인하려고 육지를 헤매고 자료를 모았지만 허사였다. 피투성이로 모래밭에 엎어져 있는 사람들을 군인들이 바다에 던질 때 젖먹이도 예외가 아니었다. 절멸·광기가 허락된 제주 4·3은 인선의 엄마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악몽을 꾸며 이를 갈고 눈물을 흘리게 한 트라우마였다.

 

"인간이 인간에게 어떤 일을 저지른다 해도 더 이상 놀라지 않을 것 같은 상태····" 인선은 희생자 유가족을 인터뷰하고 사건을 복기하면서 알면 알수록 인간의 잔인함에 말을 잃는다. 어두운 삶을 살았던 엄마의 그늘에서 벗어나려고 그녀는 안간힘을 썼지만 결국 엄마의 사랑에 스며든다. "뻐근한 사랑이 살갗을 타고 스며들었던 걸 기억해. 골수에 사무치고 심장이 오그라드는.... 그때 알았어. 사랑이 얼마나 무서운 고통인지." 눈이 내리면 직접 본 적도 없는 엄마가 겪었던 그때의 일들을 인선도 끄집어낸다.

 

"무엇을 생각하면 견딜 수 있나. 가슴에 활활 일어나는 불이 없다면. 기어이 돌아가 껴안을 네가 없다면." 작가 한강은 이 책이 지극한 사랑의 소설이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속섬허라(숨을 죽이라는 뜻)는 제주 4.3의 아픔을 드러내는 고유한 언어가 되었다. 동굴 천장에서 떨어지는 물만으로 숨죽이며 버틸 때 부모가 아이들에게 가장 많이 했던 말이다. 공포와 폭력으로 비록 몸은 앗아 갔지만 죄 없는 영혼마저 지울 수는 없을 터이다. 작별할 수가 없는 것이다. 골짜기와 활주로 아래 슬픔의 심연에 묻힌 그들의 영혼이 온전히 위로받기까지는.

서옥경_프로필.png

사회적협동조합 길목
삶의 작은 공간으로부터 희망을 함께 나누는 큰 길로 통하는 '길목'을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의 모임
03175 서울 종로구 경희궁2길 11(내수동 110-5) 4층
손전화 010-3330-0510 | 이메일 gilmok@gilmok.org
계좌번호 | 출자금 - 하나은행 101-910034-05904(사회적협동조합 길목)
프로그램 참가비 - 하나은행 101-910034-06504(사회적협동조합 길목)
COPYRIGHT ⓒ 2022 사회적협동조합 길목 ALL RIGHT RESERVED.

Article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