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는글]

a6de88

아직 끝나지 않은 2024년

posted Jan 13,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체포.jpg

 

 

12개월의 시간이 흐르면 일 년이 됩니다. 통상 12월이 되면 지난 11개월의 시간을 탈 없이 지낸 것을 감사하며 새로운 일은 가급적 시작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작년 12월은 전혀 예상하지 않은 비상계엄과 비행기 폭발이라는 엄청난 사건과 사고가 있었고 새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의 여파와 후유증 때문에 현재를 2024년 13월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군부독재 시절에나 있을법한 비상계엄은 내란 수괴인 대통령에 대한 탄핵과 체포 영장 발부로 현재 진행 중입니다. 무안공항에 동체착륙을 하다 폭발한 비행기는 많은 분들이 소중한 목숨을 잃은 비극적 사고로 정확한 사건 진상을 밝히지 못한 상태에서 장례를 치르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충격적인 사건과 사고를 매일 보고 들으며 우리는 분노하고 슬퍼하며 일상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비극적 사고를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는 다르지 않지만 비상계엄을 대하는 국민과 정치인의 태도는 극단적으로 달라서 국가적 불안을 키우고 있습니다.

 

적반하장(賊反荷杖)이란 말은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입니다. 이해할 수 없는 때에 말도 안 되는 짓거리를 버린 자들이 하는 요즘의 행태를 보면 딱 맞는 말입니다. 비상계엄 발표를 접하고 한 달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너무 명약관화한 사건을 놓고 비상계엄은 안되지만 그렇다고 탄핵도 안된다는 주장을 하는 일단의 무리들을 보며 대다수 사람들의 마음속은 부글부글합니다. 그리고 혹시나 하는 생각으로 불안하기도 합니다.

 

새해를 맞으며 길목의 벗들에게 드리는 글의 내용이 불편한 것 같아 송구합니다. 여는 글을 쓰는 시점이 공교롭게도 어려운 상황이라 궁리를 해봤지만 피할 수 없는 현실을 반복할 수밖에 없습니다. 맞닥트린 현실을 우리가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행인 것은 12월에 무척 기쁜 소식이 있었습니다. 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입니다. 수상 소식과 함께 작품 세계와 소설가의 삶과 인품을 접하며 잠시 사건과 사고를 잊을뿐더러 직시하는 힘을 얻게 됩니다. 충격적인 비상계엄과 비통한 비행기 사고로 인하여 공동체적 치유가 필요한 시점에 '한강'의 소설 읽기는 위안과 격려가 될 것입니다. 안병무도서관의 '한강 읽기' 프로그램을 접하며 2024년을 끝내고 새해를 힘차게 맞이하고 싶은 소망을 나누고 싶습니다. 

윤영수-프로필이미지.gif


  1. 봄바람이 다시 불어오길

    지난 1월 중순 내란 우두머리의 구속을 앞두고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는 연일 시위가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제가 탄 버스가 태극기+성조기 부대 앞을 지나가는데 대형 스피커로 귀에 익은 복음성가 선율이 들려오는 것이었습니다. "주 선한 능력으로 안으...
    Date2025.03.14 Views71
    Read More
  2. 2024년, 가장 뿌듯했던 것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작년 한 해는 사건사고가 많았던 해였다. 그중에는 살아가면서 경험한 가장 슬픈 일도 있었고, 잊지 못할 감동적이고 기쁘고 멋진 일도 여럿 있었다. 2024년이 시작할 때 나는 동네 독서모임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 모임에서 다양한 독서를 하게 ...
    Date2025.02.08 Views104
    Read More
  3. 아직 끝나지 않은 2024년

    12개월의 시간이 흐르면 일 년이 됩니다. 통상 12월이 되면 지난 11개월의 시간을 탈 없이 지낸 것을 감사하며 새로운 일은 가급적 시작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작년 12월은 전혀 예상하지 않은 비상계엄과 비행기 폭발이라는 엄청난 사건과 사고가 있...
    Date2025.01.13 Views103
    Read More
  4. 시기심과 파괴성

    J는 어느 날 상담에서 나에게는 절망을 딛고 설 수 있는 희망이 없었어요. 그것은 시기심 때문에 내 안에 좋은 대상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좋은 대상을 찾아서 온 세상을 헤매다가 좋은 대상을 만나면, 나보다 잘난 것을 보는 게 내가 갈기갈기 찢...
    Date2024.12.08 Views152
    Read More
  5. 생태문화사회를 향하여

    지금 기후위기가 점점 심각해지고 불평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왜 이런 시대가 되었을까? 우리 인간들의 이기적인 사고로 자연을 함부로 파괴하고 사치와 낭비의 생활방식과 무한경쟁의 정치경제사회시스템의 결과라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다중 위기를 극...
    Date2024.11.05 Views114
    Read More
  6.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것

    노르웨이 뤼세 피오르에 있는 프레이케스톨렌(설교단 바위)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것 겨울은 봄바람이 세상에서 제일 무섭고요. 봄은 세상에서 매미 소리가 제일 무섭대요. 여름은 귀뚜라미 소리가 제일 무섭고요. 가을 햇살은 눈송이가 세상에서 제일 무섭대...
    Date2024.10.06 Views116
    Read More
  7. 길목 청년 지원 사업 소개 및 연대 요청

    길목 청년 지원 사업을 소개 평화를 빕니다. 길목 청년 지원 사업 담당 김하나입니다. 길목 청년 지원 사업은 연초, 청년 세미나팀을 모집하는 것으로 한 해를 시작합니다. 청년 세미나팀 지원은 한 팀당 4인 이상의 청년들의 상호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키고 ...
    Date2024.09.10 Views113
    Read More
  8. 안녕하세요 길목에서 일합니다

    더위가 무척 길게 이어집니다. 이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 그리고 조합원 여러분 모두, 마음과 몸에 건강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그간 제 이름으로 맥주 인문학 칼럼과 책 소개 글 같은 게 있었는데요, 길목에서 일하는 사람으로 그에 대한 인사를 드리게 된 점...
    Date2024.08.12 Views138
    Read More
  9. 인사이드 아웃

    나름 짧지 않은 인생을 살아왔다고 생각했는데 (아마도) 처음으로 한 영화의 1, 2편을 모두 보는 (지극히 개인적인)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그것도 애니메이션 영화를요. 주말에 일을 좀 해치워야 평일에 (마음의) 여유를 누릴 수 있어서 일에 집중...
    Date2024.07.08 Views160
    Read More
  10. 절제하는 삶

    자본주의의 형성과 발달은 산업혁명 이후부터다. 생산방식이 기계화되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고 더 많은 이익을 얻게 된다. 자본가들은 사업의 확장과 안정을 위해 자본을 더 많이 축적하고 소유하려 한다. 이를 위해 자본가들은 자본의 자유를 주장하여 경...
    Date2024.06.04 Views19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