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길목엔]

edaec9

거창평화기행 - 현재진행형의 아픔

posted Jun 25,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거창기행2resize.jpg



거창으로 가는 길은 사뭇 평화로웠다. 좋은 사람들과 함께 여서였을까. 4시간에 걸친 여정이 버스 창밖으로 달려가는 풍경만큼 빨리 지나갔다. 버스가 구불구불한 산허리를 느릿느릿 완행걸음으로 지날 때쯤 그곳, 거창에 다다랐다. 지리산과 덕유산, 가야산 등 명산의 깊은 품 안에 안기듯 터를 잡은 거창. 외지인이 쉽게 찾아들 수 없는 깊은 산 속 마을이어서 예로부터 왜적의 침입조차 없었다고 한다. 그처럼 전쟁의 포성소리조차 가 닿지 않았던 평화로운 마을에 그 참혹한 비극이 닥친 것이다.

산속으로 숨어든 북한 공비들을 잡겠다며, 흙에 몸을 부려 땅이 내어준 곡식이나 먹으며 살아왔던 농민들, 사람이 손에 든 긴 막대기는 나무로만 알았을 어린아이들 가릴 것 없이 학살을 자행한 국군. 아무리 전쟁 중이었고, 저 눈 맑은 사람들 중에 빨갱이가 숨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그들 나름의 변명을 갖다 붙인다 해도, 그것은 무슨 말로도 정당화될 수 없는 살육일 뿐이었다. 그들은, 내가 저들을 죽이지 않으면 저들이 나를 죽일지도 모른다는 공포와 광기에 사로잡힌 도살자들일 뿐이었다.

영문도 모른 채 제 나라 군인들에게 토끼몰이 당하듯 끌려가 산골짜기에서 집단 학살당한 마을 주민들. 박산골 바위에는 아직까지 총탄의 흔적이 군데군데 남아 그날의 비극을 증명하고 있다. 그 억울하고 비통한 넋들이 아직 그 곳을 떠나지 못한 것일까. 산골짜기에는 유난히 검은 잠자리가 많이 날아다녔다.(지금껏 살아오면서 검은색 잠자리를 이곳에서 처음 보았다.) 
비극은 한국전쟁 대에 끝난 것이 아니었다. 마을 주민들은 오랫동안 빨갱이의 누명을 쓴 채 살아왔다. 이승만 정권은 그 끔찍한 학살을 자행한 주범을 군에 복직시켜줬고, 박정희 군사정권은 거창사건 피해 유족들을 반국가단체 혐의로 감옥에 가뒀다.

게다가 주민들이 박산골에서 수습한 유골들의 합장묘를 만들고 위령비를 세웠는데, 위령비의 글씨를 정으로 쪼아 훼손하고 땅에 묻어버렸다. 주민들이 위령비를 다시 파낼 수 있었던 때는 1988년. 아직도 비스듬하게 쓰러져 있는 위령비는 자신들이 결코 빨갱이가 아니었다는 무언의 항변 같은 것일까. 그 위령비 앞에서 우리는 옷깃을 여미고 서러운 넋들의 명복을 빌었다. 거창 주민들의 빨갱이 누명은 1995년에 이르러서야 벗겨졌고 2004년에야 비로소 거창사건 추모공원과 기념관이 만들어졌다.

 

 

거창기행4_resize.jpg



난데없이 수십 명의 단체 관람객이 찾아오자, 무료한 표정으로 기념관을 지키고 있던 해설사가 우리를 반갑게 맞이했다. 그는 거창사건을 기억하고 이렇게 찾아줘 고맙다고 한다. 하루 종일 가도 기념관을 찾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한다. 우리를 배웅하며 해설사가 마지막으로 말한다. 아직도 상이군인들이 찾아오면 ‘왜 빨갱이들을 두둔하냐’는 식으로 항의를 한다고. 반 세기가 넘은 일이지만, 거창사건이 낳은 아픔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기념관을 나서는데, 갑자기 뜨거운 뭔가가 가슴을 짓누르는 듯한 느낌은, 단지 정수리로 쏟아지는 남녘의 따가운 여름 햇살 때문만은 아니었던 것 같다.

 

 

거창기행6resize.jpg

 

 

정선영-프로필이미지.gif

 


  1. 거창평화기행 - 현재진행형의 아픔

    거창으로 가는 길은 사뭇 평화로웠다. 좋은 사람들과 함께 여서였을까. 4시간에 걸친 여정이 버스 창밖으로 달려가는 풍경만큼 빨리 지나갔다. 버스가 구불구불한 산허리를 느릿느릿 완행걸음으로 지날 때쯤 그곳, 거창에 다다랐다. 지리산과 덕유산, 가야산 ...
    Date2018.06.25 Views247
    Read More
  2. 6월16일 조합원의 날 축하공연, 연극 ‘황성으로 간 심청’

    6월16일은 길목협동조합 조합원의 날입니다. 올해는 특별한 무대를 준비했습니다. 본 행사에 앞서 극단<문향>의 연극 ‘황성으로 간 심청’을 공연합니다. 감독, 작가, 배우 모두 길목조합원들입니다. 많은 관심과 사랑바랍니다. 『 극단<문향> &ls...
    Date2018.05.25 Views306
    Read More
  3. 쇠나무에 꽃 피어나듯

    우리는 지난 시절 남과 북의 증오와 대립의 시절부터 화해와 협력의 시대까지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하였다. 이로 인하여 나름대로 남북문제에 관한 한 잘 알지는 못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혀 모르지도 않는 반(半) 전문가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면서...
    Date2018.04.25 Views296
    Read More
  4. 퀴어스레 신학하기 – 퀴어성서주석 강독 시즌2

    퀴어의 시각에서 성서 읽기- 퀴어성서주석 강독 두 번째 강좌가 열립니다. 퀴어 신학에 대한 관심의 저변 확대와 한국에서의 개신교 교권 일부에서 제기하는 시비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퀴어아카데미를 준비해가는 강좌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
    Date2018.03.29 Views454
    Read More
  5. 베트남 고백여행

    길목 사무국장의 요청으로 1월 7일부터 14일까지 있었던 ‘베트남 고백여행’을 개인일정 때문에 9일부터 프로그램에 합류해서 다녀왔습니다. 예전에 길목 자체 평화기행 프로그램으로 베트남 평화기행을 가기도 했었으나 한베평화재단의 ‘베...
    Date2018.03.29 Views325
    Read More
  6. 사심이 많이 담긴 ‘월례강좌 참가기’

    ‘노조 할 권리’ – 하늘에 보화를 쌓는 일 지난 1월 길목월례강좌는 ‘노조 할 권리’ - ‘비정규직, 정규직 통합노조를 이끌어낸 경희대 노조이야기’였습니다. 흔히 말하기를 대학을 ‘신이 감추어둔 직장&rsquo...
    Date2018.02.25 Views403
    Read More
  7. 월례강좌 : 한국기독교 흑역사

    일제강점기는 우리 민족에게 가장 큰 비극이었습니다. 주권을 빼앗긴 나라, 국가를 구성하는 요소중 국민과 영토는 있지만, 주권이 없는 나라에 사는 민족은 얼마나 비참한 삶을 살아야만 했을까요? 이런 암흑기를 살아야 하는 민족, 민중의 모습을 잠시 그려...
    Date2017.12.07 Views284
    Read More
  8. 이야기가 있는 길목기행, 성곽 둘레길 걷기

    쌀쌀하지만 상쾌한 가을의 아침을 느낄 수 있는 11월 초, 배기봉 선생님과 함께 하는 성곽기행에 참가하였습니다. 우리의 행선지는 혜화문에서 시작하여 광희문까지였는데, 한양도성 성곽의 역사와 서울의 지역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어서 흥미로웠습니다. 혜...
    Date2017.12.07 Views421
    Read More
  9. 이야기가 있는 길목기행 - 6형제의 대단한 선택

    내가 전시회를 두 번 간 이유는, 어떻게 개인이 아닌 가족이 독립운동의 험난한 길을 갈 수 있었을까? 에 대한 궁금증과 교회 인재이신 분이 설명을 해 주는 귀한 기회가 만났기 때문이었다. 또한 경주이씨 백사파 가문에 시집을 간 사람으로서 두 자녀, 남편...
    Date2017.12.07 Views247
    Read More
  10. 이야기가 있는 길목기행 - 우당 6형제의 독립운동

    길목기행 이끔이 김창희 조합원 2017년 10월 15일 서울 역사박물관 기획 전시실에서 우당6형제의 독립운동 “자유의 길 민국의 길”을 이 전시회의 전시자문과 전시원고를 맡으신 김창희 조합원의 풍성한 해설로 인솔하셨다. 향린교회에서 다수의 ...
    Date2017.12.07 Views174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