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심심엔]

ddaeed

감정 느끼기

posted Mar 09, 2023
Extra Form
글쓴이 이재경
발행호수 6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028939.jpg

 

상담실에서 내담자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감정이 잘 느껴지지 않아 답답할 때가 있다. 내담자가 감정 없이 덤덤하게 하는 말들을 상담자는 그 말속에 숨은 정서를 느껴, 그 정서에 이름 붙이고 말로 돌려주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할 때 상담자로서 낙담을 하게 된다.

 

예전에 어떤 수업에서 교수님이 사람의 감정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다양하다, 어쩌면 수천 개일지도 모른다고 했던 말이 간혹 떠올라 감정을 다양하게 느끼지 못하는 내 무능함에 속상하기도 하다.

 

내담자를 만나는 시간뿐만 아니라 반대로 내 분석 중에도 깊은 마음속에 어떤 정서가 있을 텐데 느껴지지 않아, 마음으로 자연스럽게 느끼기보다 머리로 감정을 떠올리곤 한다.

 

예를 들어, 과거의 어떤 행동이 떠올랐고 그런 행동을 한 내 머리를 변기에 처박고 싶다는 생각을 했는데, 그건 스스로를 공격하고, 머리로 하는 생각이었고, 진짜 마음으로 느끼는 감정은 마음이 너무 아파 가슴이 갈기갈기 찢어진다였다.

 

한번은 내 분석 시간에 감정은 느껴지지 않고 똬리를 틀고 혀를 날름거리는 독사가 떠올랐다. 감정은 떠오르지 않고 그 독사가 떠오른다고 이야기했더니 선생님은 감정이나 고통을 느끼지 않고 오래 두면 독이 된다고 하셨다.

 

상담 공부를 하기 전에 나는 감정이 얼마나 소중한지 알지 못했다. 지금 생각하면 때때로 지독히도 우울하고 무기력했지만 난 비교적 긍정적이고 행복한 사람이라고 착각하며 그런 우울한 감정을 외면하며 살았었다. 감정이라면 희로애락 정도만 있고, 그 정도는 느끼니 별문제 없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상담 공부하면서 다양한 감정을 느끼고 소화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워 그동안 외면했던 감정을 대면하려고 부단히 노력하지만, 머리가 아니라 마음으로 감정을 제대로 느끼기가 참 어렵고 힘들다.

 

내담자 A는 대학생 때 학생운동을 했던 똑똑한 전문직 여성이다. 그런데 그분을 보고 있으면 한쪽은 잎이 무성한데, 다른 한쪽은 앙상한 가지만 있는 한 그루 나무가 연상되었다. 지적인 면에서는 무성한데 정서를 느끼는 부분에서는 말라 보였다. 정서적인 이야기를 나누면 접촉이 되고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고, 느낌을 묻는 상담자의 질문에 곤혹스러워했다.

 

내담자 B는 가까이 어른들이 많았지만, 챙겨주는 사람이 없어 남매가 서로 의지하며 힘겹게 버티며 살았다. 특히 할아버지는 꽤 재력이 있어, B가 사는 다 쓰러져가는 오래된 집에 미술품이며, 골동품이 많았는데, 정작 손자, 손녀가 굶는지, 추운지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야말로 방치된 채로 자랐다. B는 그런 어른들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화병이 생겨 지금도 가슴이 답답하고 아파 숨을 쉴 수 없다고 한다. B의 말로는 자기의 남동생은 그나마 화도 느끼지 않아 두 남매의 대화가 잘 안 되고 답답할 때가 있다면서 동생은 감정을 거세했다고 표현했다. 그것이 동생이 살아남은 방법이었을 거라고 했는데 '감정의 거세'라는 말이 너무나 아프게 들렸다. 화병에 걸린 자신보다 아무 느낌 없는 동생이 더 걱정이라며,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을 품고 사는 것 같아 불안하다고 이야기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감정을 적절하게 느끼지 못하면, 정서적 공감을 하지 못해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자신을 돌보는 최소한의 방어도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누군가 나에게 무례한 언행을 했는데 화를 느끼지 못하면 그 관계에서 적절하게 자신을 변호하지 못한다. 또는 내 연상에서 나온 독사처럼 그 독이 서서히 퍼져나가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거나 B의 남동생처럼 째깍거리는 폭탄을 안고 있는 위험천만한 삶을 사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감정을 느끼지 못하면 의미 있는 사고하기(thinking)가 어렵다고 알프레드 비온은 말했다. 비온은 정서적 경험이 사고 과정의 첫 단계에 위치해 있고, 정서가 모든 문제의 핵심이라고 했다. 정서를 충분히 소화해야 비로소 의미 있는 사고가 가능해진다는 말이다.

 

이재경.gif


  1. 뭐 그렇게까지 깊이 생각해??

    이 글을 쓰려 가만히 앉으니 올라오는 생각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내가 내담자로서 상담실 문을 처음 노크하였던 때였는데, 그때는 나를 어르고 달래는 힘이 너무 부족해서 현실이 늘 힘들었던. 그때가 떠올랐다. 그리고 두 번째로 떠오른 것은 [상처 입은...
    Date2023.11.03 Views159
    Read More
  2. 나도 마음이 아파서 그랬어요

    학교에 있다 보면 가끔씩 유난히 심술궂게 느껴지는 아이들이 있다. A와 C가 그런 아이들이었다. 한 번은 한 학급의 담임교사로부터 같은 반 학생 2명에 대한 상담의뢰가 들어왔다. 학생 A가 B를 따돌리며 멍청해서 같이 있기 싫다며, 같은 반에 있는 것 자체...
    Date2023.10.04 Views109
    Read More
  3. 아이가 부모에게 주는 것

    작년에 심심 글을 빼먹고 2년 만에 기고하는 지금, 나는 22개월짜리 아이를 키우는 엄마가 되었다. 원래 아이를 좋아하지도 않았고, 관심도 없었다. 아이를 가질까 말까 고민할 때도 심심 세미나에서 공부한 것들이 머리에서 맴돌아, 과연 내가 그 막중한 일?...
    Date2023.08.04 Views126
    Read More
  4. 도토리와 참나무

    심심은 한 달에 두 번 정기적으로 공부모임을 갖는다. 한 번은 책을 선정해 읽고 토론하며 배우는 시간이고 다른 한 번은 상담자들이 실제 상담사례를 가지고 심심의 상담사들과 나누고 노경선, 이은경 선생님께 슈퍼비전을 받는 시간이다. 정신역동에 대한 백...
    Date2023.07.13 Views165
    Read More
  5. 이해받고 싶은 마음...

    이해받고 싶은 마음, 이해받고 싶지 않은 마음 보통 내담자들은 이해받기 위해 상담을 찾는다. 그러나 어떤 내담자들은 마치 자신이 이해받고 싶지 않다는 듯이 말을 하거나 부정적인 치료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내담자들에게 자신을 이해받는 것...
    Date2023.06.15 Views220
    Read More
  6. 나는 봄을 기다리지 않는다

    © itfeelslikefilm, 출처 Unsplash 나는 봄이 참 좋다. 매서운 바람을 가르고 은근히 다가오는 봄의 따스한 기운이 참 좋다. 웅크렸던 몸을 펴고 무거운 옷을 벗게 되는 봄이 참 좋다. 꽃을 깨우는 햇빛이 좋다. 그래서 짧디 짧은 그 봄을 기다리곤 했다...
    Date2023.04.11 Views265
    Read More
  7. 감정 느끼기

    상담실에서 내담자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감정이 잘 느껴지지 않아 답답할 때가 있다. 내담자가 감정 없이 덤덤하게 하는 말들을 상담자는 그 말속에 숨은 정서를 느껴, 그 정서에 이름 붙이고 말로 돌려주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할 때 상담자로서 낙담을 하게...
    Date2023.03.09 Views194
    Read More
  8. 내담자들을 만나면서 '거절' 받는 일

    그런 경우가 있다. 주변이나 드라마에서 보면, 나를 함부로 대하면서 싫다고 거절하는 나쁜 남자(혹은 여자)에게 더 매달리고 떠나지 못하는 경우들. 나로 말하자면, 내게 호의를 보이지 않는 남자에게는 나 또한 세상에서 가장 관심 없어 했으므로, 어떤 면...
    Date2023.02.08 Views291
    Read More
  9. 우리는 모두 자신의 마음 안에 산다

    어렸을 때부터 궁금한 것이 있었다. 내가 보고 있는 저 빨간색은 다른 사람에게도 똑같은 색으로 보일까? 과학 시간에 그 의문이 풀렸다. 어떤 게 빨간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특정한 파장을 가진 빛 때문이었다. 같은 파장의 빛을 보면서 같은 색이라 이야기해...
    Date2023.01.09 Views174
    Read More
  10. SNS 도피처에서 우리를 꺼내야겠다

    겁이 난다. 언젠가부터 습관처럼 핸드폰을 시도 때도 없이 만지작거린다. ‘습관처럼’이 아니라 습관이 되어 내 몸에 손가락에 달라붙었다. 지하철을 탈 때도, 사무실에서 잠시 틈만 나면, 피곤해서 잠자리 들면서도 그새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났...
    Date2022.12.04 Views22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