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악이 알고 싶다]

d6d2c8

'국악'의 쓰임 | 넷째 이야기 - 다른 국악

posted Nov 02, 2022
Extra Form
글쓴이 라예송(작곡가)
발행호수 6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ull.png

지난 8월에 우리는 쉬운 삶을 위해 선택된 ‘국악’을 보았다.

 

“쉬운 것은 우스운 것과 동일시되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우스움. 이 때의 우스움은 재미가 아닌, 하잘것없음을 뜻한다. 국악의 쓰임 ‘쉬운’ 국악은 ‘우스운’ 국악이 될 수도 있겠다.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하잘것없는 것으로 만들고 싶어 하는 이는 없을 테지만 자신도 모르게 그런 상황에 놓인 이들은 생각보다 많다. 그들은 일차적으로 자신이 그 상황에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며, 눈치채더라도 자신이 무엇을 통해 스스로를 그러한 상황에 놓게 되었는지 알지 못한다는 것이 문제다. 더 심각한 경우는 그런 상황에 있음을 알지만 그간의 삶을 부정하는 것이 두려워 철저하게 외면하는 것이다.”

 

이번 지면에서 또 다른 국악의 쓰임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그렇게까지 국악이 뭔지 알고자 하는 사람도 별로 없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세상 이치가 이곳에서만 특별하게 이상스럽게 돌아가는 것은 아닐 것이라 믿으며, 무언가 배울 점을 찾아본다. 스스로를 부끄럽게 생각하는 존재가 자신을 포장하는 방법. (이 글은 8월 국악의 쓰임 3. 쉬운 국악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

 

4. 다른 국악

 

현재 살아있는 사람들에게 ‘국악’은 통상 떠올리는 ‘음악’(서구음악)과 비교하면 ‘다른’ 음악이다. 그저 다르기 때문에 열심히 교회에 다니며 성가대 활동을 하면서도 무당들이 부르는 노래를 감상할 수 있고, 케이팝 노래와 춤을 가장 즐겨 듣고 좋아하면서도 국악전공자의 의무를 다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게 문제인가?

 

국악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고, 굳이 찾지 않아도 어디엔가 있을 테고, 없어진다 해도 별로 놀랍지 않을 만큼 이미 없어졌을 수도 있지만 모두에게 책임은 없는, 그런 것이다. 언젠가 국악이 그저 박물관에서나 들을 수 있는 음악이 된다 할지라도 그저 그런 방식으로라도 존재하는 것으로 의미가 있다. 해당 종족의 멸종으로 모두 함께 사라진다 해도, 그 사라짐도 나름의 의미가 있다. 아니. 차라리 그렇게라도 의미를 가지는 편이 국악이 그저 다르다는 이유로 틀린 것이 되고 같음과 맞음의 추구를 위해 대중화ㆍ현대화라는 이름으로 재단되어야 하는 지금보다는 낫다.

 

자신이 본 국악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다. 나도 그중 하나다. 인간의 욕망에 의해 ‘쓰임’ 받게 되며 더럽혀지고 멸시의 대상이 되는 국악을 대할 때, 내가 아는 국악과는 전혀 다른 것이 국악이 되어가는 현실을 마주할 때, 서글프다. 더럽혀졌다는 생각과 그 상황에 대한 멸시는 어쩌면 내가 알게 모르게 그 행위의 주체였기 때문에 더 잘 알고 있는 것인지 모른다. 어차피 나의 사랑하는 국악이 이 세상에서 욕보이게 두느니 차라리 사라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해봤자 국악이라는 이름은 쉽게 죽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도 잘 알고 있다. 국악은 지금까지도 그래 왔지만 그것을 ‘자신의 다름’을 위해 쓰고자 하는 누군가에 의해 계속 부활할 것이다. 언젠가 내가 보았던 그 멋진 국악은 그것을 소중히 여기던 사람과 함께 죽고 없지만, 다른 모습의 사람과 ‘국악’이라는 ‘이름’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찌 됐건 국악을 하겠다는 사람들은 모두 ‘국악’이라는 이름 앞에 자신의 방식대로 진심일 것이다.

 

“왕부터 기생의 레퍼토리까지 포괄하는 조선의 음악문화유산, 무형문화재 또는 민족주의자들의 액세서리, 교과서에 실린 음악, 트로트, 씨름판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사람 능력에 비하여 좋은 대학을 보내주는 마력의 도구, 저작권이 없어서 마구 방송되어도 되는데 인기는 없음”

 

마지막으로 약 500년 전 이 땅에 살던 사람들의 글을 본다. 조선 성종 24년(1493), 예조판서 성현, 장악원제조 유자광 등은 왕명에 따라 악규책(樂規冊) 『악학궤범』을 펴냈고 그 서문에 자신들의 진심을 남겼다.

 

“무릇 재능은 한결같지 않기 때문에 음악을 아는 것도 어려움과 쉬움이 있어서, 수법에는 오묘한 사람이 절주에는 어둡거나 절주에는 능한 사람이 음악의 근원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으며, 한 부분을 아는 사람은 많으나 전체를 두루 환히 아는 사람은 대개 드무니, 심하도다, 악의 어려움이여! 좋은 음도 귀를 지나치고 나면 없어져버리고, 없어지면 흔적도 사라져 버리니, 마치 그림자가 형상이 있으면 생기고 형상이 없으면 사라져 버리는 것과 같다. 진실로 악보가 있으면 완급을 알 수 있고 그림이 있으면 악기 형체를 분별할 수 있고, 책이 있으면 시행의 방책을 알 수 있으니, 이것이 신 등이 졸렬함을 무릅쓰고 이 책을 편찬한 까닭이다.”

 

  1. 전통음악과 국악찬송

    일반적으로 국악은 전통음악을 의미하는 용어로 통용되지만 실상은 전통음악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전통음악을 흉내 내거나 전통악기로 연주한 모든 음악 예컨대 가요, 락, 재즈, 팝 등을 내포하며 혼용된다. 이러한 면에서 국악찬송은 국악이 맞다. 정확히...
    Date2022.12.04 Views215 file
    Read More
  2. '국악'의 쓰임 | 넷째 이야기 - 다른 국악

    지난 8월에 우리는 쉬운 삶을 위해 선택된 ‘국악’을 보았다. “쉬운 것은 우스운 것과 동일시되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우스움. 이 때의 우스움은 재미가 아닌, 하잘것없음을 뜻한다. 국악의 쓰임 ‘쉬운’ 국악은 ‘우스운...
    Date2022.11.02 Views117
    Read More
  3. 국악과 교육, 그리고 국악교육

    정치와 종교는 ‘실천’의 영역에서 논의된다는 점에서 다른 학문과 구분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 ‘교육’에 관한 다양한 접근 중 하나가 바로 실천적 교육, 삶의 형식으로서 교육에 관한 논의들이다. 교육적 삶을 실천하는 것, 가르침과...
    Date2022.10.03 Views116
    Read More
  4. 오른 음악, 왼 음악

    조선의 음악 전통이 카피라이트가 아니라 카피레프트인 것은 음악 자체의 속성으로부터 나온다. 카피라이트는 정확히는 사용권이고 사용권에 근거한 사용금지권이다. 사용을 금지하려면 금지의 대상을 한정해야 한다. 한정이 되지 않는다면 금지에 실패할 것...
    Date2022.09.03 Views142 file
    Read More
  5. '국악'의 쓰임 | 셋째 이야기

    “왕부터 기생의 레퍼토리까지 포괄하는 조선의 음악문화유산, 무형문화재 또는 민족주의자들의 액세서리, 교과서에 실린 음악, 트로트, 씨름판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사람 능력에 비하여 좋은 대학을 보내주는 마력의 도구, 저작권이 없어서 마구 방송...
    Date2022.08.04 Views139
    Read More
  6. 대면공연 소개

    <국악이 알고 싶다> 연재 첫 번째 글로 비대면시대, <온라인 국악으로 만나는 국악공연>을 소개했었다. 그 글에서 “대면공연”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코로나 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나, 불과 6개월밖에 지나지 않은 지금, “대면...
    Date2022.07.05 Views173 file
    Read More
  7. 헬조선과 경토리 상2

    조선은 정치적으로 일제에 의해 끝났지만, 사회적으로는 기독교에 의해 끝나고 있다. 그렇다, 아직 끝나지 않았다. 현재의 대한민국 정체는 조선을 필요로 한다. 한국은 아직도 조선을 뒷발질로 밀어내어 전진하고 있다. 기독교만 조선을 밀어내 온 것은 아니...
    Date2022.06.02 Views210 file
    Read More
  8. '국악'의 쓰임 | 둘째 이야기

    지난 2월에 우리는 국악의 소개를 보았다. “왕부터 기생의 레퍼토리까지 포괄하는 조선의 음악문화유산, 무형문화재 또는 민족주의자들의 액세서리, 교과서에 실린 음악, 트로트, 씨름판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사람 능력에 비하여 좋은 대학을 보내주는...
    Date2022.05.03 Views148 file
    Read More
  9. 거창한 제목: 국악의 본질을 찾아서

    거창한 제목: 국악의 본질을 찾아서 본질적 제목: 서울우리소리박물관 소개 2018년, 추석을 즈음하여 회자된 글 한편이 있다.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김영민 교수가 쓴 <‘추석이란 무엇인가’ 되물어라>라는 경향신문의 칼럼이다. 그는 “사람들...
    Date2022.04.05 Views235 file
    Read More
  10. 대화의 (불)가능성

    대화의 (불)가능성 세상에는 여러 음악이 있다. 악보가 아닌 신체로부터 출발해 완성되는 음악, 신체에서 신체로 전승되는 음악, 음의 떨림과 이동이 중요한 음악, 음색이나 텍스쳐가 중심이 되는 음악, 심지어 문학, 춤, 연극, 의례의 경계에 놓여 특정 장르...
    Date2022.03.01 Views135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