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뮬란>과 중국 소수민족 문제

mulan_poster_resize.jpg

 

 

영화 <뮬란>과 중국 소수민족 문제

 

 

최근에 중국 남북조시대 때 북방 유목민족에 맞선 한족 여성의 야사로 중국과 대만에서 드라마로도 널리 제작된 <화목란(화무란)>이 화제가 되고 있다. 미국의 영화제작사 ‘월트 디즈니’(메카시즘이 한창이던 시절, 훗날 대통령이 되는 레이건과 함께 헐리우드의 진보적인 영화 배우들을 탄압하는데 앞장섰던 자이기도 하다.)는 수년 전에 중국과 동양 유교문화권 시장을 겨냥해서 이 전설을 만화로 만들었고, 최근에 이를 영화화했다. 

이 영화는 상영되기 전인 지난해에 뮬란 역의 유역비(류이페이)가 “홍콩 경찰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 때문에 홍콩 항쟁 참가자들 사이에서 ‘보이콧 주장’이 일어났었다. 또한, 올해에는 엔딩 크레딧에서 중국 소수민족인 위구르족을 강제수용소로 가두는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악명 높은 투르판 공안국(경찰청)과 언론을 통제하는 신장위구르자치구 공산당 선전부에 감사를 표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대만, 태국에서도 불매운동이 일어났다. 

미국 의회는 ‘디즈니’에 영화 제작 과정에서 위구르족들을 강제로 동원했는지 질의할 정도로 논란이 더욱 확대되었다. (하지만 트럼프와 같은 공화당인 부시 정부는 ‘테러와의 전쟁’ 협조한다는 대가로 중국의 위구르족 탄압을 묵인했었다.) 

 위선적이게도 ‘월트 디즈니’는 ‘영화 제작’ 과정에서 도움을 받은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한 것에 불과하다고 합리화했다. 그리고 중국 정부는 논란 확대를 막기 위해 ‘뮬란’에 대한 보도를 금지했다. 

사실 디즈니가 만화영화로 제작되었을 때도 뮬란이 맞섰던 투르크계 유목민들을 자신들의 조상으로 규정하고, 1949년 중국 혁명을 피해 망명한 위구르족 등 다양한 투르크계 소수민족 활동가들이 많이 사는 터키에서는 ‘자신들의 조상들을 모욕’했다고 거세게 비판하기도 했다. 

(또한, 터키 공화국의 창설자 케말 파샤(아타튀르크)가 세속주의 정책을 펼치면서 청산했던 옛 오스만투르크 제국을 미화하는 대통령 에르도안은 신장위구르자치구 ‘재교육 시설’을 비판하는 발언을 했다.)  

 참고로 이번 영화는 중국 정부가 그동안 소수민족을 다수민족 한족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에 동화시키기 위해 펼쳤던 여러 정책의 연장이다. 현재 중국어 수업 확대에 반대하는 몽골족들이나 ‘재교육 시설’에 갇힌 위구르족 입장에서는 노골적으로 다수민족인 한족을 미화하는 영화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모순적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소수민족의 역사를 중국사의 일부로 만드는 결과, 뮬란이 맞섰던 여러 소수민족 역시 ‘중국인’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오홍레이와 같은 일부 중국 지식인들은 평범한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쓴 <절반의 중국사>(김선자 옮김/ 메디치 펴냄/)에서 고대의 북방 유목민족들이 세운 나라들인 몽골제국과 그 외에 소수민족이 세운 요, 금, 청 등을 ‘자랑스런 중화민족’의 역사로서 소개하기도 한다. (하지만 티베트족과 위구르족의 독립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이다. 그럼에도 이러한 역사 해석이 한족 영웅들의 역할을 ‘비하’한다며 반대하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영화 <뮬란>을 둘러싼 논란은 중국 정부가 겉으로는 “소수민족을 존중”한다는 정책조차 지킬 의지가 별로 없음을 드러내는 것 같다. 심지어 일부 소수민족 정책 입안자들은 현재 미국의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운동을 통해 한계가 잘 드러난 미국식 동화정책을 중국 소수민족 정책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영화 보이콧 운동이 소수민족 문제 해결과 홍콩 항쟁 참가자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탄압을 약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지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마르크스주의”가 인도와 아일랜드 독립운동을 지지했던 마르크스는 물론, 스칸디나비아 노동자계급 운동의 단결을 도모하고자, 노르웨이 독립을 막으려는 스웨덴 지배계급에 맞서서 노르웨이 독립을 지지한 스웨덴 노동자계급 운동을 러시아 노동자계급이 배워야 한다고 주장한 레닌이 발전시킨 “마르크스주의”하고도 관련이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김재원-프로필.gif

 

사회적협동조합 길목
삶의 작은 공간으로부터 희망을 함께 나누는 큰 길로 통하는 '길목'을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의 모임
03175 서울 종로구 경희궁2길 11(내수동 110-5) 4층
손전화 010-3330-0510 | 이메일 gilmok@gilmok.org
계좌번호 | 출자금 - 하나은행 101-910034-05904(사회적협동조합 길목)
프로그램 참가비 - 하나은행 101-910034-06504(사회적협동조합 길목)
COPYRIGHT ⓒ 2022 사회적협동조합 길목 ALL RIGHT RESERVED.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