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악이 알고 싶다]

d6d2c8

대화의 (불)가능성

posted Mar 01, 2022
Extra Form
글쓴이 성혜인
발행호수 5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화의 (불)가능성

 

1516581.jpg

 

세상에는 여러 음악이 있다. 악보가 아닌 신체로부터 출발해 완성되는 음악, 신체에서 신체로 전승되는 음악, 음의 떨림과 이동이 중요한 음악, 음색이나 텍스쳐가 중심이 되는 음악, 심지어 문학, 춤, 연극, 의례의 경계에 놓여 특정 장르로 말끔하게 분리되지 않는 음악도 있다. 일반적으로 음악은 무형의 소리를 재료로 한 결과물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은 음악도 있다. 음악을 정의하려는 숱한 시도를 보았지만, 내 생각에 음악을 정의하거나 음악을 성립하게 만드는 조건을 제시하는 일은 필연적으로 실패하고 마는 것 같다.

 

새삼스럽게 원론적인 이야기를 꺼낸 이유는 내가 그간 체감한 대화의 어려움 탓이다. 음악에 관한 대화는 이상한 구석이 있다. 보통의 대화는 서로 다른 곳에서 출발하더라도 같은 곳에 도착하곤 했지만, 음악에 관한 대화는 같은 곳에서 출발해 서로 다른 곳에 도착하는 일이 잦았다. 때때로 어디에서 출발하는지, 어디로 향하는지 조차 알 수 없는 대화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음악만큼이나 각자 상상하는 음악이 달랐기 때문에 서로를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생각해보면 서양음악이 아닌 국악을 기본값으로 하는 대화는 거의 없었다. 있다 하더라도 국악이 서양음악과 얼마나 다른지 구구절절 부연하며 끝나기 일쑤였다. 나의 신체도 국악의 언어가 아니라 서양음악의 언어로 국악을 설명하는 데 익숙해져야 했다. 얼마나 다른지에 집중할수록 상대적으로 주변부에 위치한 음악의 중요한 부분을 놓치는 것처럼 느껴졌다. 게다가 서양음악 전문가는 음악 전반에 대한 발언권을 얻지만, 국악 전문가는 국악에 대한 발언권만을 얻는 것처럼 보였다. 마치 국악은 음악의 ‘일부’일 뿐 음악 자체일 수는 없다고 말하는 것 같았다. 국악은 거대한 음악사의 시작이 아닌 마지막에 위치하는 음악, 서구가 ‘다양성’이라는 윤리적 알리바이를 확보하기 위해 동원하는 음악, 철저한 변방으로서 근근이 자신의 존재가치를 증명하는 음악일 뿐이었다.

 

음악에 관한 좋은 대화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각자의 고정관념이 무엇인지 공유해야 한다. 하지만 이미 기울어질 대로 기울어진 대화의 장에서 서양음악에 대한 관념은 상식이 된다. 내가 선택한 전략은 ‘국악’ 대신 ‘음악’을 의도적으로 쓰는 것이었다. 나는 ‘국악’을 써야 하는 자리에 ‘음악’을 쓰려 노력한다. 나를 소개할 때도 마찬가지다. 국악평론가가 아닌 음악평론가라는 직함을 쓴다. 물론 국악평론가라고 쓸 때 나의 관심사를 명료하게 드러낼 수 있다. 하지만 나는 국악이 아닌 음악에 대한 글을 쓰기도 하고, 국악만을 다룬다 하더라도 음악이라는 단어를 쓰지 말아야 할 이유는 없었다. 클래식이나 대중음악을 음악의 전부로 여기는 현실은 어딘가 이상했고, 무엇보다 서양음악이 아닌 음악이 음악의 보편적 입지를 갖지 못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여기서 국악도 음악이라고 주장하려는 건 아니다. 이렇게 대화가 어려운 상황을 비관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대화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 다양한 음악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왜 중요한지 고민해볼 필요는 있다. 나는 음악을 하나의 언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언어는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결정한다. 즉, 하나의 음악은 하나의 세계를 이해하는 것과 같다. 일례로 우리는 무지개를 일곱 가지 색깔로 분류한다. 실제 무지개가 일곱 가지 색깔로 구성되어 있어서가 아니다. 우리가 무지개의 색깔을 구분하는 언어를 일곱 가지 밖에 갖지 못 했기 때문이다. 빨강이라 지칭하더라도 빨강 안에는, 그리고 빨강과 주황 사이에는 다양한 스펙트럼의 색깔이 있다. 우리는 경계에 놓인 모호한 색깔을 지칭하는 언어를 갖지 못한 탓에 특정 색깔을 포착하지 못할 뿐이다. 익숙하지 않은 음악을 이해하는 건 무지개의 수많은 색깔을 섬세하게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눈을 갖게 되는 것과 같다.

 

국악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냐고 묻는다면, 세계를 이해하는 언어를 하나 더 갖게 되는 것이라 답하고 싶다.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음악의 넓이는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세상의 넓이와 다르지 않다. 이것이 국악을 비롯한 다양한 음악을 이해하려는 대화가 필요한 이유다. 좋은 대화는 상대의 음악적 언어를 나에게 익숙한 언어로 쉽게 치환하지 않고, 이때 발생하는 불편함을 기꺼이 감수하는 태도에서 비롯된다. 어쩌면 우리에겐 더 많은 대화와 더 많은 실패가 필요한 것인지도 모른다. 서로를 오해하지만 결국엔 상대를 통해 자신의 중요한 부분을 다시 바라보게 되는 대화 말이다.

 

성혜인


  1. 전통음악과 국악찬송

    일반적으로 국악은 전통음악을 의미하는 용어로 통용되지만 실상은 전통음악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전통음악을 흉내 내거나 전통악기로 연주한 모든 음악 예컨대 가요, 락, 재즈, 팝 등을 내포하며 혼용된다. 이러한 면에서 국악찬송은 국악이 맞다. 정확히...
    Date2022.12.04 Views215 file
    Read More
  2. '국악'의 쓰임 | 넷째 이야기 - 다른 국악

    지난 8월에 우리는 쉬운 삶을 위해 선택된 ‘국악’을 보았다. “쉬운 것은 우스운 것과 동일시되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우스움. 이 때의 우스움은 재미가 아닌, 하잘것없음을 뜻한다. 국악의 쓰임 ‘쉬운’ 국악은 ‘우스운...
    Date2022.11.02 Views117
    Read More
  3. 국악과 교육, 그리고 국악교육

    정치와 종교는 ‘실천’의 영역에서 논의된다는 점에서 다른 학문과 구분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 ‘교육’에 관한 다양한 접근 중 하나가 바로 실천적 교육, 삶의 형식으로서 교육에 관한 논의들이다. 교육적 삶을 실천하는 것, 가르침과...
    Date2022.10.03 Views116
    Read More
  4. 오른 음악, 왼 음악

    조선의 음악 전통이 카피라이트가 아니라 카피레프트인 것은 음악 자체의 속성으로부터 나온다. 카피라이트는 정확히는 사용권이고 사용권에 근거한 사용금지권이다. 사용을 금지하려면 금지의 대상을 한정해야 한다. 한정이 되지 않는다면 금지에 실패할 것...
    Date2022.09.03 Views142 file
    Read More
  5. '국악'의 쓰임 | 셋째 이야기

    “왕부터 기생의 레퍼토리까지 포괄하는 조선의 음악문화유산, 무형문화재 또는 민족주의자들의 액세서리, 교과서에 실린 음악, 트로트, 씨름판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사람 능력에 비하여 좋은 대학을 보내주는 마력의 도구, 저작권이 없어서 마구 방송...
    Date2022.08.04 Views139
    Read More
  6. 대면공연 소개

    <국악이 알고 싶다> 연재 첫 번째 글로 비대면시대, <온라인 국악으로 만나는 국악공연>을 소개했었다. 그 글에서 “대면공연”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코로나 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나, 불과 6개월밖에 지나지 않은 지금, “대면...
    Date2022.07.05 Views173 file
    Read More
  7. 헬조선과 경토리 상2

    조선은 정치적으로 일제에 의해 끝났지만, 사회적으로는 기독교에 의해 끝나고 있다. 그렇다, 아직 끝나지 않았다. 현재의 대한민국 정체는 조선을 필요로 한다. 한국은 아직도 조선을 뒷발질로 밀어내어 전진하고 있다. 기독교만 조선을 밀어내 온 것은 아니...
    Date2022.06.02 Views210 file
    Read More
  8. '국악'의 쓰임 | 둘째 이야기

    지난 2월에 우리는 국악의 소개를 보았다. “왕부터 기생의 레퍼토리까지 포괄하는 조선의 음악문화유산, 무형문화재 또는 민족주의자들의 액세서리, 교과서에 실린 음악, 트로트, 씨름판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사람 능력에 비하여 좋은 대학을 보내주는...
    Date2022.05.03 Views148 file
    Read More
  9. 거창한 제목: 국악의 본질을 찾아서

    거창한 제목: 국악의 본질을 찾아서 본질적 제목: 서울우리소리박물관 소개 2018년, 추석을 즈음하여 회자된 글 한편이 있다.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김영민 교수가 쓴 <‘추석이란 무엇인가’ 되물어라>라는 경향신문의 칼럼이다. 그는 “사람들...
    Date2022.04.05 Views235 file
    Read More
  10. 대화의 (불)가능성

    대화의 (불)가능성 세상에는 여러 음악이 있다. 악보가 아닌 신체로부터 출발해 완성되는 음악, 신체에서 신체로 전승되는 음악, 음의 떨림과 이동이 중요한 음악, 음색이나 텍스쳐가 중심이 되는 음악, 심지어 문학, 춤, 연극, 의례의 경계에 놓여 특정 장르...
    Date2022.03.01 Views135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