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낙영58

『딸기 따러 가자』-어느 영문학자의 따뜻한 위로의 말

 8960907332_1.jpg

 

 

인간이기 때문에

일관성이 없고

옳지 않은 일을 하고

실망스럽게 행동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여라.

당장 죽을지도 모를 치명적인 문제가 아니라면

지금 당신이 느끼는 실망감은

삶을 위한 위대한 훈련이다.

-럼비(Lumbee)족의 말 (105쪽)

 

1.

 

위에 인용한 ‘럼비족의 말’을 읽으면 자책과 회한에 빠진 한 인간에 대한 애정과 위로가 보입니다. 아주 흔하게 하는 관용적 표현 ‘말의 힘’이 느껴집니다. 그것은 지혜의 힘이기도 하죠. 그러니까 말은 기본적으로 의사소통의 수단이기도 하지만, 지혜의 전승 매체라는 거죠. 그 지혜의 말에서 우리는 깊은 위로를 받을 수 있다는 겁니다.

 

오늘날 말은 우리에게 얼마나 위안이 될 수 있는 걸까요.

 

우리 시대는 온통 서로에게 혹은 스스로에게 상처를 주고, 그 상처를 끝도 없이 헤집어대는 기이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시대의 말도 윤기를 잃고 공허한 기호로 떠돌다 매연처럼 사라지는 게 아닌지 가슴이 아려옵니다. 어째서 말은 치유와 위로의 기능을 빼앗기게 된 걸까요.

 

정은귀 교수의 『딸기 따러 가자』를 읽으며, 저 자신의 말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언제부턴가 저의 언어가 변하기 시작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아마 50대를 넘어가는 나이 무렵부터였을 겁니다. 시나브로 합리와 논리의 껍질을 두껍게 뒤집어쓰고 어휘의 빈틈을 메우고 있는 정서적 어감을 탈각시키고 있었던 겁니다. 그러니 누구에게는 저의 말이 가시 돋친 흉기였을 것이고, 저 자신을 향해서는 자해의 도구였던 것이죠.

 

‘아, 이래서는 안 되겠다.’

 

저는 오랫동안 쳐다보지도 않던 시집을 찾아 읽기 시작했습니다. 거의 이십여 년이 훨씬 넘는 세월 동안 애써 눈길조차 주지 않던 시집을 말이죠. 순전히 저의 메마른 언어에 작은 물줄기를 잇는 심정으로 말입니다. 물론 크게 달라졌다고 할 수는 없지만, 말에 대한 문제의식은 여전히 수행자의 화두처럼 뇌리에 똬리를 틀고 있습니다.

 

2.

 

정은귀 교수의 『딸기 따러 가자』는 꽤나 재미있는 구성을 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아메리카 인디언 부족에게 전승되는 이야기나 특정인의 말에 기대어 우리가 처한 상황과 정서를 풀어놓지만, 12개 달로 이루어진 단원의 모두에 인디언들이 부르는 이름과 저자의 시민대학 강좌 수강생들이 붙인 이름이 나란히 놓이고, 그 달의 이름이 주는 정서와 저자의 사유가 총론처럼 붙어 있습니다. 이 부분을 읽다 보면 의외로 감각적인 표현을 발견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전 지구적 재앙이 되어버린 전염병 대유행의 국면에서, ‘고립된 사람들’에게 따뜻한 말을 전하려 합니다. 초연결 시대라 일컬어지는 시대에 원해서 건 그렇지 않든 스스로를 고립시키지 않으면 안 되는 사람들에게 ‘괜찮아, 곧 좋아질 거야.’라며 어깨를 감싸 안고 위로를 합니다.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를 것 같으면,

넌 무엇을 할 거니?”

“그럼 딸기 따러 가는 거야.”

“우리 딸기 따러 가자.”

-모호크(Mohawk)족 할머니의 말 (61쪽)

 

고립감은 불안감입니다. 무엇을 해야 할지, 어디로 가야 할지를 모르니 불안한 거죠. 전대미문의 재앙 앞에서 자신을 잊은 사람들에게, 저자는 모호크족 할머니의 말을 통해 무언가 하도록 권유합니다. 그리곤 말하죠. ‘무엇이든 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 구원’이라고.

 

당신이 세상에 태어날 때

당신은 울었지만 세상은 기뻐했다.

당신이 죽을 때 세상은 울겠지만

당신은 기뻐할 수 있도록

그런 삶을 살아라.

-나바호족의 말 (205쪽)

 

저자는 비교적 잘 알려진 나바호족의 말을 낙엽 지는 가을날에 떠올립니다. 사랑하는 제자의 죽음을 애통해하면서 그의 절망을 알아채지 못한 자신을 자책합니다. 그 애절한 죽음과 동시에 광주학살의 책임자였던 한 독재자의 죽음을 통해 국가 폭력과 자본의 폭력에 둔감한 우리 사회를 통렬히 고발하면서 죽음에 대한 통찰을 보여줍니다.

 

몸이 사라져도 생의 무게는 엄연히 남습니다. 잊은 듯해도 기억으로 남습니다. 죽음 뒤에도 저주와 원망을 끌고 가는 영혼도 있습니다. 모든 것은 그렇게, 없어지지도 사라지지도 않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니 오늘 주어지는 이 하루, 더 잘 챙기며 나누며 살아야겠다 싶습니다. (206~207쪽)

 

우는 걸 두려워 마라.

울음은 당신 마음을 슬픈 생각에서

해방시킬 것이니,

소리 내어 진정으로 울 줄 아는 자는

진심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호피(Hopi)족의 속담(30쪽)

 

어느 때부터 인가 남에게 우는 것을 보이는 것이 창피한 일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래서 숨어서 울거나 울음을 삼키게 되죠. 제 생각엔 경쟁 사회의 폐해 가운데 하나가 자신을 숨겨야 하는 것입니다. 약점이나 치부가 드러나게 되면 치명적인 도태 과정으로 이어지니 자연스럽게 가면을 쓰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는 걸 치욕으로 받아들이고, 그걸 보는 사람도 당혹스러워하게 되었죠. 그런데 저자 정은귀 님은 호피족의 속담에 기대어 ‘슬픔의 연대’가 중요하다며, -어떤 슬픔과 어떤 울음. 내 울음의 진폭을 알아주는 단 한 사람만 있다면, 죽지 않고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우리 모두에게 용기를 내라 말합니다.

 

1월부터 시작해 12월로 마무리될 때까지 이 책은 내내 아프고 힘겨워하는 이 시대의 ‘홀로 서있는 사람들’에게 -생은 난처한 사건의 연속이라는 오래된 가르침을 기억하라-며 다만 하루치의 삶에 충실하라고 말합니다. 그 하루치의 삶을 잘 견뎌 낸다면 긴 생의 자락도 아름답게 채색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을 전하고 있습니다.

 

3.

 

이 책의 미덕은 첫 장에서부터 마지막 장까지 순서에 상관없이 아무 곳이나 펼쳐 읽어도 좋다는 겁니다. 또 무심하게 책상 한 켠에 던져 놓고 있다가 문득 가슴 시린 일이 있을 때마다 펼쳐 보아도 좋은 책입니다. 거창한 인생의 법칙 같은 것을 드러내 놓고 강변하고 있지 않지만, 읽고 나면 어느새 우리가 잊고 있었던 가치의 한 자락을 잡고 있을 겁니다.

 

치열하게 살지 않으면 도태되어 무슨 일이나 날 것처럼 사는 게 일상이 되어버린 시대에, 아무도 ‘그래, 잘하고 있어.’라며 격려하지 않는 시대에, 주고받는 말에 온갖 무기를 장착하고 전장에 선 전사들처럼 총질을 일삼는 시대에, 절망과 탄식의 언어가 난무하는 희망과 역사의 종언이 당연 시 되는 시대에, 그릇된 욕망이 마치 시대의 가치인 양 무자비하게 살포되는 시대에, 실낱같은 희망과 따뜻한 위로가 필요하다면 한 영문학자가 건네는 ‘오래된 삶의 진짜 이야기’가 가득한 책 『딸기 따러 가자』를 펼쳐보시라 권해봅니다.

 

[정은귀 교수 길목 인터뷰 읽기▶]

오낙영2_축소.jpg

사회적협동조합 길목
삶의 작은 공간으로부터 희망을 함께 나누는 큰 길로 통하는 '길목'을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의 모임
03175 서울 종로구 경희궁2길 11(내수동 110-5) 4층
손전화 010-3330-0510 | 이메일 gilmok@gilmok.org
계좌번호 | 출자금 - 하나은행 101-910034-05904(사회적협동조합 길목)
프로그램 참가비 - 하나은행 101-910034-06504(사회적협동조합 길목)
COPYRIGHT ⓒ 2022 사회적협동조합 길목 ALL RIGHT RESERVED.

Articles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