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악이 알고 싶다]

d6d2c8

국악과 교육, 그리고 국악교육

posted Oct 03, 2022
Extra Form
글쓴이 김현철
발행호수 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ull.png

정치와 종교는 ‘실천’의 영역에서 논의된다는 점에서 다른 학문과 구분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 ‘교육’에 관한 다양한 접근 중 하나가 바로 실천적 교육, 삶의 형식으로서 교육에 관한 논의들이다. 교육적 삶을 실천하는 것, 가르침과 배움을 자신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것에 관한 논의가 바로 교육을 바라보는 여러 시선 가운데 하나인 것이다. 그러나 “교육” 앞에 붙는 수식어들 때문에(음악교육, 평생교육, 유아교육, 원격교육 등...) 교육의 본질은 희석되고, 단지 그 수식어들을 뒷받침하는 수단으로 “교육”이라는 용어가 대체되곤 한다.

 

국악 역시 마찬가지다. 퓨전국악, 국악 세계화, 전통국악과 같은 수식어들은 그저 국악을 수단으로 만들어 버린다. 지금은 무대 예술로서 굳건히 자리매김한 국악은 본래 실천적 삶을 지향하는 우리 생활 문화 가운데 하나였다. 국악을 전승하는 방식인 ‘구전심수(口傳心授)’라는 말이 바로 실천적 삶의 형식을 가장 잘 드러낸다. 가르침과 배움이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하나를 배워 하나를 가르쳐 주는 교육적 삶의 태도를 통해 국악이 전승되었던 것이다. 어쩌면 국악을 구성하는 개념 가운데 이 실천적 개념이 녹아있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구전심수 방식을 통해 전승되던 국악문화는 악보와 녹음기를 통해 전승되는 국악문화에 묻혀 지금은 그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이렇듯 국악과 교육은 기본적으로 실천의 의미를 내포한다. 배우고 가르치는 삶을 추구하는 실천적 교육과 구전심수를 통해 가르침과 배움을 통한 문화전승의 과정을 추구했던 실천적 국악의 모습은 우리 삶의 방식과 방향을 제안한다. 굳이 “국악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국악의 내면에는 깊은 교육적 실천의 의미가 담겨있다. www.academy.gugak.go.kr


  1. 전통음악과 국악찬송

    일반적으로 국악은 전통음악을 의미하는 용어로 통용되지만 실상은 전통음악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전통음악을 흉내 내거나 전통악기로 연주한 모든 음악 예컨대 가요, 락, 재즈, 팝 등을 내포하며 혼용된다. 이러한 면에서 국악찬송은 국악이 맞다. 정확히...
    Date2022.12.04 Views215 file
    Read More
  2. '국악'의 쓰임 | 넷째 이야기 - 다른 국악

    지난 8월에 우리는 쉬운 삶을 위해 선택된 ‘국악’을 보았다. “쉬운 것은 우스운 것과 동일시되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우스움. 이 때의 우스움은 재미가 아닌, 하잘것없음을 뜻한다. 국악의 쓰임 ‘쉬운’ 국악은 ‘우스운...
    Date2022.11.02 Views117
    Read More
  3. 국악과 교육, 그리고 국악교육

    정치와 종교는 ‘실천’의 영역에서 논의된다는 점에서 다른 학문과 구분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 ‘교육’에 관한 다양한 접근 중 하나가 바로 실천적 교육, 삶의 형식으로서 교육에 관한 논의들이다. 교육적 삶을 실천하는 것, 가르침과...
    Date2022.10.03 Views116
    Read More
  4. 오른 음악, 왼 음악

    조선의 음악 전통이 카피라이트가 아니라 카피레프트인 것은 음악 자체의 속성으로부터 나온다. 카피라이트는 정확히는 사용권이고 사용권에 근거한 사용금지권이다. 사용을 금지하려면 금지의 대상을 한정해야 한다. 한정이 되지 않는다면 금지에 실패할 것...
    Date2022.09.03 Views142 file
    Read More
  5. '국악'의 쓰임 | 셋째 이야기

    “왕부터 기생의 레퍼토리까지 포괄하는 조선의 음악문화유산, 무형문화재 또는 민족주의자들의 액세서리, 교과서에 실린 음악, 트로트, 씨름판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사람 능력에 비하여 좋은 대학을 보내주는 마력의 도구, 저작권이 없어서 마구 방송...
    Date2022.08.04 Views139
    Read More
  6. 대면공연 소개

    <국악이 알고 싶다> 연재 첫 번째 글로 비대면시대, <온라인 국악으로 만나는 국악공연>을 소개했었다. 그 글에서 “대면공연”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코로나 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나, 불과 6개월밖에 지나지 않은 지금, “대면...
    Date2022.07.05 Views173 file
    Read More
  7. 헬조선과 경토리 상2

    조선은 정치적으로 일제에 의해 끝났지만, 사회적으로는 기독교에 의해 끝나고 있다. 그렇다, 아직 끝나지 않았다. 현재의 대한민국 정체는 조선을 필요로 한다. 한국은 아직도 조선을 뒷발질로 밀어내어 전진하고 있다. 기독교만 조선을 밀어내 온 것은 아니...
    Date2022.06.02 Views210 file
    Read More
  8. '국악'의 쓰임 | 둘째 이야기

    지난 2월에 우리는 국악의 소개를 보았다. “왕부터 기생의 레퍼토리까지 포괄하는 조선의 음악문화유산, 무형문화재 또는 민족주의자들의 액세서리, 교과서에 실린 음악, 트로트, 씨름판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사람 능력에 비하여 좋은 대학을 보내주는...
    Date2022.05.03 Views148 file
    Read More
  9. 거창한 제목: 국악의 본질을 찾아서

    거창한 제목: 국악의 본질을 찾아서 본질적 제목: 서울우리소리박물관 소개 2018년, 추석을 즈음하여 회자된 글 한편이 있다.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김영민 교수가 쓴 <‘추석이란 무엇인가’ 되물어라>라는 경향신문의 칼럼이다. 그는 “사람들...
    Date2022.04.05 Views235 file
    Read More
  10. 대화의 (불)가능성

    대화의 (불)가능성 세상에는 여러 음악이 있다. 악보가 아닌 신체로부터 출발해 완성되는 음악, 신체에서 신체로 전승되는 음악, 음의 떨림과 이동이 중요한 음악, 음색이나 텍스쳐가 중심이 되는 음악, 심지어 문학, 춤, 연극, 의례의 경계에 놓여 특정 장르...
    Date2022.03.01 Views135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