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 카메오 6 - <빈>과 ‘휘슬러의 어머니’

아트 카메오 - 영화에서 튀어나온 그림 이야기

6. <빈>과 ‘휘슬러의 어머니’ - 누가 예술로 장난을 치나?

 

 

한때 명절이면 으레 TV에서 로완 앳킨슨의 <미스터 빈>을 볼 수 있었다. 엉뚱하게도 옥스퍼드 대학에서 제어공학과 대학원을 나온 그는 누구도 따라 하기 힘든 자신만의 독특한 ‘몸 개그’로 새로운 코미디 패러다임을 만들었다. 그는 눈, 코, 귀, 입, 손, 발, 엉덩이 등 몸 전체로 웃음을 만들어냈다. 어떤 코믹한 상황을 통해 웃기는 것이 아니라 미스터 빈이 어디서 무엇을 하든지 사고뭉치의 코믹한 상황을 만들어냈다.

그가 극장용 영화를 만들기 시작한 첫 작품이 1997년의 <빈>이다. 이 작품은 그후 만들어진 다른 작품에 비해서 성공적이었다. 본래 빈의 스타일은 앞뒤 아무런 상관없이 중간에 30초만 뚝 잘라서 보아도 웃기는 것인데 극영화의 스토리 전개에 빈을 묶어버리면 그의 스타일이 살아나지 않았기에 대부분의 영화는 생각만큼 좋은 반응을 얻지는 못했다. <빈>만은 비교적 그의 스타일을 잘 살렸다. 물론 여기서도 그의 전매특허인 대형사고를 친다.

사실 이 영화는 영국이나 프랑스인들이 미국의 천박한 문화나 예술을 비꼬고 풍자하는 전형적인 패턴을 담아내고 있다. 영국 왕립미술관의 말썽장이 경비원이 로스앤젤레스의 한 사설 미술관의 큰 행사에 초대된다는 설정부터가 그러하다. 그 행사란 미국출신의 화가 제임스 맥닐 휘슬러의 대표작인 ‘회색과 검정색의 배열 1번’(1871)을 미술관이 사들여서 그것을 처음 공개하는 이벤트였다. (이 작품은 본래 화가의 의도와는 달리 ‘휘슬러의 어머니’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작품을 유럽에서 사오게 된 것은 미술에 대해서는 문외한인 한 미국 장성이 미국화가의 대표작이 유럽에 있는 것은 자존심의 문제라면서 엄청난 돈을 기부했기 때문이다.

 

 

4photos_resize.jpg

 

 

미술 작품을 대하는 태도가 애국심과 결부된 것도 그렇지만 더욱 가관인 것은 이를 기해서 미술관이 벌이는 각종 판매상품 이벤트이다. 미술관은 돈이 될 만하면 무조건 만들어낸다. 그것이 미술 작품의 예술성을 훼손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랑곳이 없다. 이런 판국에 우리의 미스터 빈께서는 상상을 초월하는 대형사고를 치는데 ‘휘슬러의 어머니’ 작품 자체를 훼손시켜버린 것이다. 처음에 재채기에서 시작되어 그로 인해 그림에 튄 이물질을 닦아내다가 점점 사태를 수습할 수 없는 상태에 다다른다. 어머니의 얼굴 부분을 완전히 녹여버린 것이다. 게다가 그 뭉개진 얼굴 자리에 만화 같은 얼굴을 그려 놓은 것은 덤이다.

 

 

2photos_resize.jpg

 

 

위기에 처한 빈이 기지를 발휘해서 취한 행동은 그림을 같은 크기로 제작된 포스터와 바꿔치기 하는 것이었다. 물론 포스터 위에 각종 유화 느낌을 주는 물질을 덕지덕지 발라서 그럴듯하게 만들어서 말이다. 미술관은 이 작품을 영구히 잘 보관한답시고 여러 보안장치와 더불어 유리관 속 깊숙이 넣어두었기에 멀찌감치 떨어져서 작품을 보면 그것이 가짜인지 알 수가 없다. 포스터가 그림을 대신하고 명화 위에 장난스런 덧칠은 한 것은 1919년 마르셀 뒤샹의 <L.H.O.O.Q.>를 연상시킨다. 이것은 모나리자의 포스터 위에 수염을 그려 넣고 ‘그녀의 엉덩이는 뜨겁다’(L.H.O.O.Q.을 프랑스어 알파벳을 읽으면 이런 성적인 암시의 문장과 비슷해진다)라고 제목을 붙여 놓은 반예술의 대표적인 작품이 그것이다. 뒤샹은 자기 확신의 반미학, 반예술의 표현이었지만 빈의 행동은 (물론 의도된 것은 아니지만) 예술을 대하는 미국식 문화에 대한 노골적인 야유요, 조롱이라고 할 수 있다.

 

 

Marcel_Duchamp,_1919,_L.H.O.O.Q_resize.jpg

 

 

사실 작품 ‘휘슬러의 어머니’에서 화가는 ‘어머니’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단지 약속한 모델이 오지 않아서 어머니를 모델로 한 것에 불과하다. 프랑스에서 마네의 영향을 많이 받은 휘슬러는 한 폭의 그림 속에 배치된 완벽한 조형성과 균형을 추구한 것이었다. 그렇기에 제목도 ‘회색과 검정색의 배열 1번’과 같이 추상적이다. 어머니는 주제가 아니라 소재에 불과하다. 그러나 화가의 손을 떠난 작품은 그것을 감상하는 사람들의 몫이 된다. 이 작품은 빈약한 19세기 미국 미술의 한줄기 희망처럼 떠올랐다. 마치 문학에서 허만 멜빌의 <백경>처럼 미국인의 자존심과 결부된 작품이다. 그도 그럴 것이 그림에 묘사된 어머니의 청교도적이고 엄숙하며 엄격한 풍모는 미국인들의 취향에 잘 어울려서 1934년 첫 번째 어머니의 날 기념우표에 등장하게 된다. 그로 인해 이 작품은 모성의 아이콘이 되었고 휘슬러는 미국의 국민화가가 되었다.

 

실제로는 이 작품은 미국에 있지 않다. 영화에서는 미스터 빈이 덧칠한 ‘반예술’ 작품이 빈의 침대 옆에 영구히 걸려있게 되지만, 이 작품은 결코 훼손된 적이 없이 파리의 오르세미술관에 잘 전시되어 있다.

 

노원-프로필이미지.gif

 

사회적협동조합 길목
삶의 작은 공간으로부터 희망을 함께 나누는 큰 길로 통하는 '길목'을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의 모임
03175 서울 종로구 경희궁2길 11(내수동 110-5) 4층
손전화 010-3330-0510 | 이메일 gilmok@gilmok.org
계좌번호 | 출자금 - 하나은행 101-910034-05904(사회적협동조합 길목)
프로그램 참가비 - 하나은행 101-910034-06504(사회적협동조합 길목)
COPYRIGHT ⓒ 2022 사회적협동조합 길목 ALL RIGHT RESERVED.

Articles

1 2 3